Experience the best technology and know-how ICON Co., Ltd.
전단변형률 게이지가 구비된 탄성받침
Overview
With a lining layered with rubber plates and reinforcing iron plates, the flexibility of rubber Using stiffness to lengthen the natural period of a structure Reduce seismic forces and distribute loads.
fixed end
One directional
Multi directional
특징
ㆍ탄성받침 표면에 이등변 삼각형을 음각으로 각인
고무층의 전단변형률에 따라 고무의 수평변위가 좌우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성형시 탄성받침 표면에 전단변형률을 확인 할 수 있는 이등변 삼가형을 음각으로 각인
ㆍ유지관리가 필요 없는 영구적인 전단변형률 게이지
기존 전단변형 게이지는 눈금자 탈락 및 외력에 의한 변형 등 내구성 및 안전성이 부족하였으나, 탄성받침 성형시 음각으로 각인하여 탄성받침 수명기간동안 영구적인 검측가능
ㆍ공용 중 수평방향 발생 변위를 시각적으로 확인
상시점검이나 유지관리시 과도한 수평변위를 눈대중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변형량 확인이 가능하여 제품의 손상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음
종류
고정단 | 일방향 | 양방향 |
성능
탄성받침 시험전 | 음각 전단변형률 게이지 (0%) |
전단변형률 시험 (25%) | 전단변형률 시험 (50%) | 전단변형률 시험 (75%) | 전단변형률 시험 (100%) |
인증서
우수제품 지정중서 | 소재•부품 신뢰성 인증서 |
Sliding elastic base (Patent No. 10-0879364)
개요
교축방향은 탄성받침이 전단 변형되지 않고 슬라이딩면에서 변위를 수용하고, 교축직각방향에 대해서는 탄성받침이 전단변형되도록 고안된 탄성받침
적용사례
교량의 주기가 긴 고 교각
산악지 통과 교량 등 교각이 고 교각인 경우 탄성받침을 적용하면 장주기화에 따른 지진시 변위가 과다하게 발생하여 받침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움. 교대부에 일체형 탄성받침 적용시 탄성받침의 수직용량을 필요이상으로 과다하게 키워야 하나, 슬라이딩 탄성받침을 적용으로 최적설계가 가능
|
다경간 연속화 BEAM교
다경간 연속화 BEAM교의 탄성받침은 신축거더 길이가 길수록 상시 이동량(온도변화 등)이 허용변위를 상회하여 적용이 어려움. 교대부 및 신축거더 길이가 큰 부분에 슬라이딩 탄성받침 적용으로 최적설계가 가능하며, 신축이음장치 최소화에 따른 주행성 및 내구성이 향상
|